안녕하세요 잡덕입니다.
요새 OTT의 대장격인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에 제한을 둔다고 해서 넷플릭스 사용하는 분들은 걱정을 하셨을 텐데요.
1월까지만 해도 이 인증 방법이 와이파이 기준 인증이라 많은 분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어요.
와이파이 인증은 같은 와이파이를 사용하지 않으면 계정을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본가와 함께 사용하는 1인 가구나 와이파이 없는 상황에서의 방법 또는 공구를 하는 경우에 난감하기 그지없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넷플릭스가 기존의 와이파이 인증 방식이 아닌 디바이스 코드 인증으로 인증을 진행할 것이라 밝혔는데요.
디바이스 코드 인증 방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인증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넷플릭스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내용입니다.
함께 살지 않는 구성원과 계정을 공유할 경우
회원의 계정이 해당 회원의 가구 구성원(같은 IP공유)이 아닌 사람의 디바이스에서 로그인되거나 계속 사용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가 넷플릭스 시청에 이용되기 전에 회원에게 이를 인증하도록 요청하거나, 회원의 넷플릭스 이용 가구로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A라는 사람의 계정을 B, C, D가 함께 사용하는데, 이 세 명이 A의 가구 구성원이 아닌 경우 이 세명이 넷플릭스를 사용할 때 A에게 인증 코드를 보내 인증을 먼저 진행하게 한다는 거예요.
그리고 이 인증 방식을 디바이스 인증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A가 좀 귀찮아지는 거죠
디바이스 인증 방법
1. 넷플릭스에서 기본 계정 소유자에 연결된 이메일 주소 또는 전화번호로 링크를 전송합니다.
2. 링크를 열면 4자리 인증 코드가 포함된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3. 해당 코드를 15분 이내에 디바이스 인증 요청 메시지가 표시된 디바이스에 입력해야 합니다.
4. 코드가 만료된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서 인증 코드를 새로 요청해야 합니다.
5. 코드를 올바로 입력하면 해당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6. 정기적으로 디바이스를 인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조금 귀찮은 방법이지만 기존의 와이파이 인증보다 나은 방법인 거 같아요.
아니 사실 고화질 1인용 멤버십을 만들면 되는 건데 넷플릭스가 왜 이건 안 만드는 건지 정말.. 이해가 안 갑니다.
이외 인증 방식에 대해 궁금하실까 봐 제가 다른 내용도 가지고 왔습니다.
여행 중이나 다른 위치에서 넷플릭스 사용
넷플릭스는 회원이 여행 중이거나 여러 집을 옮겨가며 사는 경우에도, 언제 어디서나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기본 계정 소유자(또는 기본 계정 소유자와 함께 사는 사람)의 경우, 넷플릭스를 시청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인증할 필요가 없습니다.
장기간 넷플릭스 이용 가구 외부에서 머무는 경우, 디바이스를 인증하라는 메시지가 종종 표시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에서는 계정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계정 사용 권한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이를 인증하도록 요청합니다.
디바이스 인증 끄기
넷플릭스를 시청하는 데 사용되는 디바이스가 기본 계정 소유자의 가구에서 인터넷 연결을 사용하는 경우 인증이 요청되지 않습니다.
기본 계정 소유자의 가구와 관련되지 않은 디바이스로 넷플릭스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먼저 인증해야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에서는 이를 통해 계정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계정 사용 권한이 있음을 확인합니다.
넷플릭스가 가구 내의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넷플릭스 계정에 로그인한 디바이스의 IP 주소, 디바이스 ID 및 계정 활동과 같은 정보를 사용합니다.
동시접속 가능한 명수
넷플릭스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수는 멤버십에 따라 다르며, 이때 디바이스는 동일한 가구 구성원의 디바이스만 해당됩니다.
이쯤 되면 아 더럽고 치사해서 그냥 내 거 쓴다! 하실 수 있는데요..
그래서 함께 준비했습니다.
넷플릭스 멤버십 종류 및 가격
국내 OTT 1위의 넷플릭스의 이번 결정이 마치 교촌 치킨의 배달비 정책과 같이 국내 OTT 시장의 큰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안 그래도 춘추 전국시대 같이 춘추 OTT시대인데 가격까지 오르니.. 이젠 정말 OTT 멤버십도 정리를 해야 할 시간이 온 것 같아요.